본문 바로가기

정보

[정보/다큐] 왜 수렵채집인들은 현대인과 달리 충치가 없었을까 ?

반응형


.




요즘 충치관련 글이 일베 많이 오는데

많은 게이들이 과거 인류는 충치가 어느정도 있었는지 궁금해 하길래 올린다.



올해 초 방영한 kbs 과학스페셜 다큐다.  내돈 700원 내고 다운받아서 직접 캡쳐해서 올린다.

음식과 진화라는 타이틀에  부제는 농부가 된 인류.  

내가 올리는 부분은 이 다큐의 앞 일부분일 뿐이고 나머지 부분도 재밌으니

직접 보고 싶으면 너네들도 돈내고 다운받아서 봐라. 

굉장히 유익하고 재밌다.  토렌트는 찾아봐도 없음.



0.jpg

신석기 인들은 먹을 것을 찾아 떠돌던 수렵채집 생활을 청산하고  농경과 목축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1.jpg

약 9000년 전 쯤 파키스탄의 메르가르인은 한 곳에 정착하여 농경을 시작하게 되었는데

2002년에 출토된  유골의 치아임.   치아배열 상태 ㅍㅌㅊ ?



3.jpg4.jpg 
호옹이?    이것이 머랑가?    어금니 곳곳에  테두리가 균일한 구멍이 있네 ?  
살아있을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됨. 

   
9.jpg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니 인공적으로 생긴 구멍인데
돌을 예리하게 갈아 만든 송곳으로 뚫은 것으로 추측된다.
신석기인들 과학수준 무시하지 말랑께~



10.jpg

이런식으로 불피울때 쓰는 활과 유사한 것을 돌려서 마찰 일으키면서 뚫었다고 추측됨.


11.jpg

충치 치료행위.
으아아악~~!!!  이빨 갈리는 소리 좀 안나게 해라~~!!


12.jpg

연구진이 위 방식으로 뚫은 구멍.  재미지겠노?




자 그럼 인류는 언제부터 충치를 앓았던 것일까?



13.jpg

수많은 화석을 조사한 결과 수렵채집 시대에는 전체의 5퍼센트 만이 충치가 발생했다.
기원전만 하더라도 3퍼센트 수준.  
기원후 5백년까지는 5퍼센트보다 약간 높은 수준. 

한마디로 충치 걸리는 인간은 희귀한 경우에 해당됨.

으아 현대인들 직무유기 아닙니까?



14.jpg

농경인의 충치발생률 그라프 수준  ㅍㅌㅊ ?
무려 25퍼센트에 육박한다.




15.jpg

위 짤은 체에 거르는 정제 탄수화물


16.jpg

18.jpg
농경을 시작한 신석기 시대 인류는 곡식의 껍질을 벗기고 갈아서
정제된 부드러운 탄수화물을 섭취하기 시작한다.



19.jpg

그동안 치아를 청소하던 역할을 하던 생야채 과일과 고기등의 섭취가  감소하면서
치아에 박테리아가 급증했다고 설명하는 교수.



식량을 위해 시작한 농경과 함께 충치도 일반적으로 퍼지기 시작하는데...


21.jpg

밀, 쌀, 수수, 기장 등 곡식의 소화쉬운 탄수화물을 입속 세균이 매우 좋아하는데
세균이 많아지면 산을 만들고 산이 치아에 구멍내서 충치가 시작된다고 한다. 

농경시작 전에는 충치가 거의 없었다는 설명. 


신석기 시대인 약 1만년전에 지구 곳곳에서 거의 동시에 시작된 농경은
식생활에 혁명을 몰고 왔지만 동시에 충치도 따라옴. 


20.jpg

중국과 인도 에서 밀과 쌀 농사.    뉴기니섬에서는 바나나농사.
멕시코 남부의 옥수수농사 등  세계 곳곳에서 거의 같은 시기에  농경이 시작됨.
신석기인들 텔레파시 ㅍㅌㅊ ?



그런데 왜 수렵채집을 포기하고 농경을 시작하게 되었을까?


22.jpg

약 8만년전 아프리카에도 빙하기가 찾아옴.
빙하지대에서 불어오는 찬바람으로 대지가 마르면서
당시 아프리카 생식가능 인구수는 1만명 이하로 감소.  인류 조땔번 했노?

따라서 이 기근의 땅을 떠나기 시작.




아프리카를 떠나서 어디로 갔을까?



23.jpg

유전학자들은 염색체 분석을 통해 밝혀냄



24.jpg

아프리카 동부의 어느곳에서 시작된 이주


25.jpg

바퀴벌레같은 번식력 보소~




이스라엘로 가보자


27.jpg

아프리카를 탈출한 한 무리의 인류가 이곳에 도착했는데
농경의 흔적이 발견.  




28.jpg

29.jpg

돌낫과 연돌 불에탄 곡식 등이 발견.

  

농경사회로의 변화는 안정적 식량 확보를 가져왔지만
오히려 사람들을 병약하게 만듬.


30.jpg
농경 시작 전의 수렵채집인의 모습. 
늠름하고 길쭉길쭉 하노? ㅋㅋㅋ



31.jpg

농경인의 모습 ㅠㅠ  
우리 일게이들처럼 숏다리에 키도 작아짐.
씨바  이상하게 운지진화하는 거 보소.
아~~  내가 농경인이다~~!!!


인류는 도구를 이용해 수렵채집으로 고열량 음식을 섭취하면서 
뇌용량과 키가 커졌지만



농경을 시작하면서 다시 키가 작아지고 건강이 나빠졌다고 함.


32.jpg

수렵채집인이 오히려 농경인들보다 건강했다는 교수의 설명
수렵채집인이 키도 더 크고 수명도 더 길었다고 함.

다양한 동식물로부터 음식을 구하던 수렵채집인의 생활과 달리

농경인은 주로 곡물만 먹는 단조로운 식사했기 때문.


33.jpg

이스라엘에서 최초로 씨를 뿌렸던 여인
날씨는 건조하고 추웠고
정착생활로 인구는 많아졌기 때문에 
농경을 통해 식량환경을 변화시킬수 밖에 없었음.

34.jpg




35.jpg

농경시작으로 굶어죽지 않게 되면서 인구는 폭증함,



36.jpg

각 대륙에 정착해 농사를 시작하면서 인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가 되지만




정제탄수화물로 인한 충치와

불균형한 영양섭취로 인한 작은 키와 병약한 몸을 가져오게 됨.




세줄 요약.

1. 일게이들은 지금 손에 쥐고 있는 피자, 빵, 라면, 콜라, 단 음료수 내려놓고 
2. 야채 과일 고기를 균형있게 섭취하고, 섬유질 많은 현미밥 먹어라.
3. 양치질 잘 해라. 

끝.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