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기관총) 히틀러의 전기톱, MG-42 기관총에 대해서

반응형


.





일간베스트 원문링크 www.ilbe.com/5547436396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KgOxg

게이들아 안녕 처음으로 총기 정보글써보는데 너무 떨리노 이기...오늘 소개할총기는 바로 콜오브듀티나 메달오브아너 한 게이들은 낯이익고 잘아는 MG-42를 소개하려고한다. 반응 좋으면 이어서 다른총기 가져와서 써볼게.. 재미있게 읽어줬으면 바란다.

MG-42_기관총.jpg

( MG42 기관총 - 제 2차 세계대전 중인 1941년에 개발되어, 1942년에 독일군에게 채택되어 주력 기관총으로서, 이전 모델인 MG34 기관총과 유사한 다목적 기관총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운용되어 1945년 종전까지 약 40만 정이라는 엄청난 생산량과 운용성을 자랑. 그러나, 주요 특징으로 악명높은 발사속도(분당 1,200-1,500발)와 연사 시 특유의 발사 소음으로 인해 붙여진 별명 히틀러의 전기톱 으로 잘 알려진 유명한 무기이다.

)


[ MG42 기관총 제원 ]

분류 - 기관총 / 공랭식 기관총 / GPMG (* General Purpose Machine Gun : 다목적 기관총)

정식명칭 - 독) MaschinenGewehr .1942 영) Machine Gun (model.) 1942 (독어 직역으로 1942년형 기관총'이라는 뜻)

제식명칭 - MG42

개발자/사 - Mauser Werke AG 및 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여러 군수업체.

개발국가 - '제 3 제국(* 제 2차 세계대전 시대의 나치스 정권'의 독일)

개발년도 - 1941년 (* MG34 기관총을 개량한 MG34S 또는 MG34/41 기관총을 의식.)

생산년도 - 1942년 - 1945년. (* 독일제 오리지널 MG42 기준.)

사용국가 - 원래 모델을 사용한 국가) 독일 카피하거나 참고한 국가) 미국, 스페인, 오스트리아, 유고슬라비아, 스위스, 폴란드 등

구경 - 7.92mm

사용탄 - 7.92 X 57mm Mauser 제식소총탄

급탄 - 50/100/250발 연결 탄띠급탄방식 (* MG34 기관총의 50발들이 원통형 탄창(이라고 해봐야 탄띠를 말아넣은 깡통)도 호환 가능)

작동방식 - 반동 이용식(Recoil-Operated), 롤러 잠금식(Roller-Locked)

전장 - 1,120 mm / 44 inch (* 독일 기준으로는 미터법이용.)

총열길이 - 533 mm / 21.0 inch

중량 - 11.57 kg

발사속도 - 표준) 1,200발 / 분 (* 작동 볼트의 걸림을 조절하여 분당 900-1,500발까지의 발사속도 조절이 가능함.)

탄속 - 총구속도) 860 m/s

최대사거리 - 미상 ( 해외 기록에 의하면 약 2-3km 이상으로 추정)

유효사거리 - 약 1,000m (* 1km 밖에서 맞았다고 안죽는건 아님)

파생형 - 'MG45/MG42V, MG1, MG2, Rheinmetall MG3, Zastava M53(유고슬라비아 카피판), MG74(오스트리아 카피판) 등



제원을 알아봤으니 개발배경 을 알아보자


폴란드 침공을 시작으로 도래한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은 이미 다목적 기관총으로서 MG34 기관총을 운용 중이었는데 MG34 기관총은 성능은 좋았으나, 항공용 기관총을 참고로 개발된 모델이었던지라 무겁고 내부 부품이 많이 들며 외부 환경이나 오염등에 취약했고 생산하는데 필요한 단가와 생산시간이 불리했기 때문에 야전에서 이를 운용하는 병사들에게는 애물단지일 수 밖에 없었다

참고로 MG34는 1정 생산하는데에 150인시(人時)에 327 라이히스마르크(제국 마르크 : 당시 독일 화폐단위) 생산도 각 부품을 수공업 으로 생산하는 방식이어 불리함은 많았다

여기에 총열 교환도 단점이 많았는데, 총열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총몸을 잡고 거의 180도 가까이 돌려야 총신에서 총열을 빼내어교환할 수 있었는데. 이 과정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것


MG-34_기관총_-_MG-42_이전에_사용된_기관총이다._단점이_적잖이_있어_이를_수정하고_개량하는_과정에서_'MG-42'가_탄생한다.jpg

( MG34 기관총 - 제 1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1930년대 초반에 독일의 재군비 계획에 맞추어 항공용 기관총을 참고로 개발된 기관총으로서, 보병용 분대지원화기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위에서 언급한 여러 단점들이 있었고 대량생산에 불리한 생산 방식 때문에 문제를 파악한 독일군부는 이 기관총을 대체할 새로운 기관총 개발을 시도한다. 사용탄은 7.92 X 57mm Mauser 제식소총탄 )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한 새로운 기관총의 개발을 위해 독일군부는 여러 방산업체에게 MG34 기관총을 개량하거나 신형 모델을 개발하도록 요구했고. 이 과정에서 독일 군수업체 중 하나였던 요하네스-그로스푸스 AG에서 1938년에 개발한 시제품인 MG34/41 또는 MG34S가 채택되어 실전 평가와 추가적인 일부 개량을 거친 뒤에 1942년에 MG42 로 제식화되어 독일 육군에 도입되었으며, 대량 생산이 시작


MG42 기관총은 개발 요구에 맞추어 MG34 기관총의 단점을 상당히 개선시킨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서 대단하거나 복잡하리만큼 설계를 고친 것이 아니라. 아주 단순한 사상의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 그 조건을 제시해보겠다.

< MG34를 대체할 기관총 -> MG42 기관총 >

1) MG34 처럼 다목적 기관총이어야 함.

2) 생산단가가 싸고 생산속도가 빨라야 함.

3) 발사속도의 향상 요구.

4) 총열교환이 신속하고 간편해야 함.


MG42_기관총의_우측면_모습_-_총열이_그대로_노출되어_있어._방열을_고려한_디자인.jpg

이 문제를 해결하여. MG42 생산에는 많은 부품이 프레스 공법을 이용한 생산 공정을 도입. 생산성과 시간을 개선시켰다.

또한, 이미 MG34 기관총도 당시로서는 빠른 수준인 분당 900발을 자랑했으나, 독일군은 발사속도를 더 향상시킬 것을 요구했고이에 최대 발사속도가 분당 1,500발까지 상승시켜낸다 표준은 분당 1,200발을 유지하도록 하나, 총몸 내부의 노리쇠뭉치의 무게를 조절하여 발사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MG34에서 지적되었던 단점 중 하나였던 외부 환경이나 오염에 취약함이라는 내구성 문제에 대해서도 개선되었는데. 바로 작동 방식인 롤러 잠금식(Roller Locking) 덕분 이 방식은 총몸 내부에 흙탕물이나 먼지가 들어가도 내부에서작동되는 노리쇠뭉치나 공이는 작동 위치에 그대로 물려져 작동되는 식이었기에 정밀성이 약간 틀어질 수 있어도 총은 별다른문제없이 발사되는 것

MG42의_볼트_구성품_-_이_작은_쇠뭉치가_분당_1,200-1,500회_직선_왕복운동을_한다.jpg

( MG42 기관총의 노리쇠 뭉치 - 이 작은 금속 결합부품이 총몸 내부에서 분당 1,200발 직선-왕복 운동을 한다. )

MG42_기관총의_총몸_내부_단면_-_특유의_롤러-록킹_시스템.jpg

( MG42 기관총 내부 단면 - 노리쇠 뭉치가 윗 부분 고리 형태 부분에 물려진 것을 볼 수 있다. )

한편, 총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병사들에게도 호평을 받았다.

총열_교환_시의_모습_-_총몸과_총신을_연결하는_부분의_고리를_열고_총열을_교환함.jpg

( 총열 교환 과정 - 일련의 과정은 총몸과 총신 연결부 우측 덮개의 고정 레버를 열어 덮개를 여는데 이 과정에서 덮개 쪽에 물린 총열도 우측으로 비스듬히 튀어나오게 된다. 석면장갑을 착용하여 우측으로 튀어나온 과열된 총열을 빼내고 새 총열을 끼워 밀어넣은 뒤에 덮개를 닫고 레버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총열을 교환하는 식 MG34 기관총에 비해 상당히 간편한 과정이며, 시간도 매우 단축. )

삼각대_위에_거치시킨_MG-42_기관총_-_전용_삼각대인_'라페테(Lafette)_42'에_거치시킨_모습이다.jpg

(라페테 42'에 장착된 MG42 기관총 )


비록 발사속도가 매우 높아서 총열이 금방 과열되고 사수의 시야가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는 단점도 분명 존재했지만

MG42 기관총은 등장 초기부터 시작하여 연합군에게 매우 치명적인 피해를 안겨주는 무기로 인식되었다. 1942년 동부전선과 북아프리카 전선에 투입되어 운용을 시작하였으며, 동부전선에서는 소련군의 우라 돌격을 비롯한 인해전술을 상대로, 북아프리카 전선에 서는 사막이나 도시에 배치되어 연합군 보병(사막에서는 차량 기동이 제한됨)을 상대로 위협적인 성능을 보여줌

그러나 MG42가 가장 큰 위협성을 보여준 것은 단연 1944년 6월 6일 작전명 오버로드 작전 당일 전날 새벽에 강하한 미 육군 제 82 공수사단과 제 101 공수사단. 영국 육군 제 6 공수사단 등이 북프랑스의 노르망디 지방에 강하했고. 오전을 기하여 연합군이 노르망디 각 해변에 상륙을 개시하였지만

5개 작전구역(섹터)로 분할된 오마하 해변만은 달랐다

영화_초반의_'노르망디_상륙작전'_장면_-_연합군을_향해_사격_중인_독일_수비대의_MG42_기관총.jpg

(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 中, 초반 노르망디 상륙작전 장면에서 미군 상륙병력을 향해 사격 중인 독일 수비대의 MG42 기관총사수)

대서양 방벽이라고 불리는 북프랑스의 해안 방벽에 거치된 MG42 기관총 단 몇정은 해변가에 노출된 상륙정과 병력들을 향해 일제히 방아쇠를 당겼고. 썰물 의 좋지 않은 시기와 후방에서의 박격포 포격으로 인해 엄청난 피해를 입으며 간신히 해변을 점령 참고로 미군은 오마하 해변에서만 약 3천 여명 이상의 피해를 입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몬테카지노_전투'에서_MG-42를_운용_중인_'팔슈름야거(독일_공수부대)'_기관총팀.jpg

( 몬테카지노 전투에서 연합군을 향해 MG42 기관총을 사격하고 있는 팔쉬름예거(Fallschirmjager : 독일 공수부대) 기관총팀 )


이러한 엄청난 위력에 미군은 신병 훈련소에서 MG42 영상을 방영하면서까지 야전에서 병사들의 공포심을 낮추려고 했으며. 실제로 공황상태에 빠지지 않도록 노획한 MG42를 미국에서 개조하여 양산하려는 시도도 있었다고 한다. (* 실패로 끝나지만 이 때의 경험을 이용하여 M60 기관총을 개발. )



< MG42 기관총의 파생형 >


[ 독일의 오리지널 파생형 ]


1) MG45 / MG42V 기관총- 종전 직전인 1945년에 MG42의 생산을 더욱 간편화한 개량형 버전으로, 특이하게도 발사속도를 더 높인 것이 특징약 1,300발 ~ 2,000발을 1분에 쏠 수 있는 엄청난 발사속도를 자랑했으나. 종전으로 생산이 많이 되지 않았으며 생산된 일부 수량은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고 한다.


2) MG1 기관총 - 종전 직후 서독군에서 별도의 기관총을 개발하지 않고, 대전 중에 운용하던 MG42 재고 및 치장물자를 그대로 운용한 것.


3) MG2 기관총 - MG1 기관총을 개조하여 당시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표준탄으로 지정된 7.62 X 51mm NATO 소총탄을 사용하도록 개량한 버전


4) MG3 기관총

라인메탈_MG-3_기관총.jpg

( 라인메탈 사에서 제작된 MG3 기관총 -MG42의 새로운 후계자로 인정받은 명총으로, 현재도 독일 연방군과 EU 가입국가의 군에서

차량 탑재 기관총' 등으로 운용 중 )


MG-3_기관총.jpg

( 개량형 버전인 MG3A1 기관총 - 독일 연방군의 제식 기관총이었으나, 차세대 기관총인 HK-121 기관총으로 대체될 것이라 한다. )


MG3 기관총은 MG42 기관총의 높은 완성도에 의한 일종의 향수와도 같은 무기라고 할 수 있다 .전후 독일은 MG1이나 MG2 같은 개량된 기관총들을 운용해왔으며, 사용탄을 7.62 X 51mm NATO 소총탄으로 바꾸고 너무 높아서문제(연사 시의 사수 시야 감소)가 되었던 발사속도를 낮춘 분당 700~800발로 떨어뜨린 개량 완성형의MG3 기관총을 도입함. MG3 기관총은 7.62 X 51mm NATO 사용탄에 총신에 크롬 도금을 적용시켰고, 볼트의 무게를 증가(가벼우면 빨리 나가고 무거우면 느리게 나감)시켰으며, M60 기관총에서도 사용되는 7.62mm NATO 표준 분리형 금속탄띠링크를 사용하기 위해 개조되었다.한편, 2000년대 중반부터 독일 측에서는 분대지원화기목록에서 MG4 기관총을 도입하여 대체하는 듯 싶더니. 급기야 2010년부터 Heckler & Koch 사에서 개발한 HK-121 기관총을 차세대 분대지원화기로서, 도입 시작하여 MG3 기관총을 대체한다고 한다



[ 다른 나라의 파생형 ]


1) 스페인 - CETME Ameli 기관총 : 5.56 X 45mm NATO 표준소총탄.

CETME_Ameli_기관총_-_5.56mm_NATO_탄을_사용하는_MG42의_개량형,_스페인이_운용_중.jpg

스페인은 이미 제 2차 세계대전 직전부터 제 3 제국과 긴밀한 협력을 맺고 있었으나, 세계대전에는 참전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독일이 스페인 내전에 도움을 준 것과의 연계 측면에서 세계대전 종전 후에 독일의 기술자들이 스페인으로 망명하는 것이 많았는데 이 때. MG42 기관총이 스페인으로 건너가 개조되어 재설계된 것이 CETME 사에서 개발된 CETME Ameli 기관총이 기관총은 7.62mm 구경이 아닌. 현용 제식소총탄 주력급인 5.56 X 45mm NATO 표준소총탄을 쓰도록 개량되었으며, 기존의 MG42나 MG3 기관총의 거의 절반 가까운 무게 밖에 안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MG42 / MG3 기관총 - 10.5kg ~11.2kg CETME Ameli 기관총 - 5.3kg) 그러나 내부 성능의 완벽성을 추구하지는 못했는지 송탄불량이나 발사불가 등이 자주 발생하여 신뢰성은 낮다고 한다.


2) 유고슬라비아 - Zastava M53 기관총 : 7.92 X 57mm Mauser 소총탄

Zastava_M53_기관총_-_MG-42_기관총을_'자스타바_사'가_카피_생산한_물건으로,_'걸프전()'_때도_일부_운용_되었다.jpg

구 유고슬라비아의 유명한 군수업체였던 Zastava 사(가 MG42 기관총을 그대로 카피'하여 생산한 물건으로사용탄과 내부 작동까지 유사했다고 한다. 그러나 기술적 문제가 많아 발사속도가 오리지널보다 못한 수준이었다고 한다


3) 오스트리아 - MG74 기관총 : 7.62 X 51mm NATO 소총탄.

MG-74_기관총_-_1974년부터_'오스트리아_육군'이_'MG3_기관총'을_라이센스_생산하여_운용_중이다.jpg

1974년부터 오스트리아 육군'이 독일제 MG3 기관총을 도입. 아예 라이센스 생산 인가를 받아 MG74 기관총이라는 명칭으로 생산 운용되는 기관총으로서, MG3A1 기관총과 동일한 특징과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오스트리아가 파키스탄 등의 일부 국가에게 이 기관총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는데. 정작 개발국가인 독일에게는 라이센스 값만 줄 뿐이고 별도의 해외 수출비용은 부담하지 않는다고 한다


4) 스위스 - W+F MG51 기관총 : 7.5 X 55mm 소총탄 (* 스위스가 독자 개발했었던 소총탄.)

W+F_MG51_기관총_-_스위스에서_MG42를_개조하여_생산한_모델,_7.5_X_55mm_탄_사용.jpg

스위스는 1951년에 MG42를 자국용으로 개조한 MG51 기관총을 운용 중. 그러나, 1950년대 후반 - 60년대 초반에 미국과 주요 유럽국가를 위시로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등장과 NATO 군 의 표준 소총탄 심사 과정에서 선정된 NATO 표준 제식탄'에 각 국이 자국산 화기들의 사용탄을 통일 시키려는 움직임이 보이자, 차츰 도태시켜 나가면서 새로운 기관총을 도입


5) 스위스 - MG710-1, 2, 3 기관총 : 7.62 X 51mm NATO 소총탄

SIS_MG710-1,2,3_기관총_-_사진은_MG710-1(MG57-1)_기관총,_스위스에서_MG42를_참고하여_생산,_7.62_X_51mm_.jpg

MG51 기관총에서의 개발 노하우 등을 바탕으로 7.62 X 51mm NATO 소총탄을 사용하는 신형 기관총으로서 도입한무기어째 요새는 잘 보이지 않는 것 같다.

MG42 기관총은 꽤 인상깊은 성능과 활약을 남긴 만큼. 여러 미디어에서 자주 등장. 당연히 제 2차 세계대전의 서부전선을 그린 영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데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에서 자주 등장하는게 MG42 기관총 그러나 현재 MG42 오리지널은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일부 운용 중인 MG3 기관총이 흔하게 보일 뿐


그외 짤방들

다양한_모습으로_전시된_MG42_-_가장_오른쪽의_삼각대는_'대공용_마운트'.jpg

다양한모습으로 전시된 MG-42

MG3_기관총을_조준_중인_독일_연방군_분대지원사수_-_MG3_위에는_무려_'EoTech_사'의_'홀로그래픽_사이트'가...jpg

( 독일연방군의 MG3 기관총 - EoTech 홀로그래픽 도트 사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



이상 MG-42 사격영상을 올리고 소개를 마친다.



[정보 출처]


1) 엔하위키 미러 - http://mirror.enha.kr/wiki/MG42

2) 위키피디아 - 영문판) http://en.wikipedia.org/wiki/MG42

한글판) http://ko.wikipedia.org/wiki/MG_42

3) Imfdb 사이트 - http://www.imfdb.org/wiki/MG42

4) WorldGuns 사이트 - http://world.guns.ru/machine/de/mg-42-and-mg-3-e.html

5) 네이버 블로그) '웨어울프의 Sieg Heil!' - http://ww2werewolf.com/80016936247

6) 구 루시페르의 잡동사니 블로그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