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2차대전에서 일본을 망하게 한 물고기, 정어리

반응형

요즘 많은 사람들에게 정어리는 익숙하지 않은 생선이다. 현재 한국인의 식탁에서 정어리를 찾아볼 수 없는지는 이미 오래되었다. 그러나 1930년대까지만 해도 정어리는 한반도의 바다에서 자주 발견되는 생선이었다. 

 

 

반응형


1923년부터 한반도 동해에서 나타난 정어리 떼의 양이 엄청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상황을 회고한 노인들의 진술에 따르면 동해의 바다는 '바닷물 반, 정어리 반'이라 했으며, 정어리 떼가 너무 많아 섬처럼 보였고, 배가 부딪쳐 침몰하기까지 했다고 전한다.

이처럼 풍족한 정어리 떼를 본 조선을 지배하던 일제는 이를 이용하려고 했다. 일본인은 원래 8세기부터 불교 교리에 따라 소, 돼지, 닭 같은 가축들의 고기를 금지하였고, 따라서 부족한 단백질은 바다에서 잡히는 해산물로 보충하였다. 그 중에서 고기를 대신한 단백질 보충 음식 중 하나가 바로 정어리였다.

 


그러나 오랜 시간 동안 정어리를 채집하다 보니 1900년대 초에 이르러 일본 바다에서는 정어리를 거의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그 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1923년에 조선 동해에서 엄청난 양의 정어리 떼가 발견되면서 일본 어부들이 앞다퉈 동해로 이동하여 정어리를 대량으로 포획하였다. 이 때 일본 어선 한 척이 하루에 적어도 700마리에서 많게는 2천 마리 이상의 정어리를 잡았다고 한다.

 

정어리는 기름이 매우 풍부한 생선으로 알려져 있었다. 일본에서는 정어리 기름을 온유(鰮油)로 명명하며, 화약, 글리세린, 비료, 화장품, 마가린, 비누, 양초 등의 공업용 제품으로 활용하였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걸쳐 일본 생산의 생선 기름 중 90% 대가 정어리 기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어리 기름은 일본군에게 매우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졌다. 1930년대까지 일본은 미국으로부터 석유의 80%를 수입하였으나, 1937년 일본이 중국 침공으로 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일본에 중국 철수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일본 군부는 이를 거부하였고, 일본에 대한 미국의 석유 수출 규제가 시작되었다.

이에 일본 군부는 전쟁을 계속 운영하기 위한 자국의 석유 독립을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선 동해에서 잡히는 정어리의 기름을 정제할 경우 일본군이 사용하는 석유를 대체할 수 있다는 방법이 있음이 밝혀졌다.

 

 

1935년 조선에서 생산된 정어리 기름의 양은 10만 톤에 이르렀으며, 이는 미국산 수입 석유에 의존하지 않아도 충분하다는 낙관이 지배적이었다. 따라서 1940년까지 일본군이 사용하는 전체 기름의 약 절반이 정어리 기름으로 쓰일 예정이었다.

 

그러나 동해에서 잡히는 정어리 어획량은 1939년에 약 120만 톤에서 1940년에는 90만 톤, 1941년에는 63만 톤으로 급격히 감소하여 1942년에는 2500톤까지 무료 250분의 1로 급격히 떨어졌다. 1943년에는 동해에서의 정어리 잡이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로 이어졌다.

조선총독부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해류 변화에 귀결하려 하였으나, 과도한 남획으로 인한 정어리 자원의 고갈이 큰 원인이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실제로 일제 강점기 동안 일본인 어부들은 동해의 어업 자원을 과도하게 남획하였고, 이로 인해 정어리 뿐만 아니라 귀신 고래와 독도 강치 등 다른 어종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

 

 

정어리 떼가 사라져버린 1943년부터 조선총독부는 동해에서 활동하는 어부들에게 정어리 잡이를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이 지시의 목적은 잡히지도 않는 정어리를 찾기 위해 어선들이 귀중한 석유나 연료를 소모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다.

1941년 12월 7일, 미국 하와이 진주만 기습 공격 이후 미국은 일본으로의 석유 수출을 전면 중단하였고, 당시 일본에 남아있는 석유는 단지 3년 6개월치 밖에 없었다. 게다가 정어리마저 더 이상 잡히지 않는 상황이었기에, 그 결과 1945년에는 일본은 전함을 바다에 내보내는 것조차 꺼려할 정도의 기름 부족 실정에 처했다.

 

결국 그 해 8월 15일 일본은 미국에 항복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두고 조선에서는 정어리를 가리켜 '일망치'(일본을 멸망시킨 물고기)로 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