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lYSCh
안녕~ 오늘은 철강산업으로 글을 쓸 생각이야.
글이 조금 부실한데, 이점 양해 바랄게~
목차는
1. 철강산업 소개
2. 철강산업 현황
3. 철강산업 구조조정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철강산업 소개
철강산업은 70년대부터 성장한
우리나라의 기간산업으로
(클릭하면 크게 보일듯)
철강산업은 포항제철을 통해
우리나라 역사에도 나올 산업이야.ㅎㅎ
철강산업의 다양한 철강제품들은
조선, 자동차, 건설, 기계 등의 다양한 산업에 쓰여
(전방연쇄효과: 한 산업의 발전이 그 산업의 생산물을 중간투입물로 사용하는 여타산업을 발전시키는 효과)
전방연쇄효과가 높은 산업으로
부가가치 창출이 조금 작아도
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산업이라고 해. (2013)
그리고 철강산업은 철을 녹이는 용광로의 종류와
생산제품이 여러가지인 산업으로
용광로는 크게 고로와 전기로가 있고
생산제품도 여러가지 형태가 있어서
용광로의 종류와 생산제품으로
회사들을 분류할 수가 있어. ㅋㅋ
우리나라 철강업체는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순이고 (2015.2분기)
포스코는 엄청나게 많은 철강제품을 만드는
우리나라 대표 철강업체로 (2015.09. 지난 43년 생산량)
포스코는 글로벌 철강사 순위
세계 6위이며 (2013)
철강사 경쟁력 세계 1위의
아주 대단한 기업이야. (2013)
또 포스코는 전기로보다
고로를 더 많이 쓰는 기업이라 (2014)
현대제철보다 생산량이 훨씬 많으면서
포스코의 전기료가 더 적다고 해. ㅎㅎ (2012)
1. 철강산업 소개 요약
1) 우리나라 철강산업은 우리나라 역사와 함께하는 기간산업임.
2) 다양한 산업에 철강제품이 사용되어 철강산업은 매우 중요한 산업임.
3) 우리나라 포스코는 세계적인 철강사로 경쟁력이 매우 우수함.
2. 철강산업 현황
국가별 철강 생산량은
중국이 압도적인 1위로 (2012)
전세계 철강 생산량의 50% 이상을
중국(China)이 생산하고 있어. (2015)
그런데 중국의 철강수요는
제조업보다 건설업에 많이 쏠려 있어서 (출처: 한국은행)
부동산 침체로 철강수요가 줄어들자
중국의 철강수출이 엄청나게 늘어났고 (2015)
전세계적인 철강 공급과잉을
중국이 만들었어. ㄷㄷ (2014)
중국의 철강 과잉생산으로 (짤은 걍 열연강판 크기)
철강 재고가 남아돌아
중국의 철강 가격이 크게 폭락하고 (Hot-Rolled Coil : 열연강판)
중국의 철강업체들이
아주 죽을 맛이라고 해. ㅋㅋ (2015.10)
하지만 중국 업체들이 남는 철강 재고를
덤핑으로 우리나라에 수출해버려서 (2015.08)
품질보다 가격 경쟁력이
더 중요한 철근 같은 경우
중국산 비중이 엄청나게 늘었다고 해. (2013)
또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이
내수의 절반 만큼을 수출하는데 (2013)
중국의 덤핑 공세 때문에 우리나라의 철강수출이
무척 어려운 형편이야. (2015년 7월 수출)
이런 중국의 과잉생산 때문에
철강 가격이 내려갔고 (2014)
철강제품을 많이 소비하는
조선업과 건설업 침체도 있어 (2013)
우리나라의 조강생산량과
수출량이 감소하고 있고 (2015.05)
철강업체들의 영업이익률이
점점 나빠지고 있으며 (2014)
포스코 주가도 운지했다고 해. ㄷㄷ (2015.09)
2. 철강산업 현황
1) 전세계 철강의 50% 이상을 중국이 생산하는데, 부동산 침체로 철강수요가 운지함.
2) 엄청난 공급과잉이 발생해 중국 철강업체들이 덤핑으로 수출하고 있음.
3) 중국의 저가공세에 우리나라 철강사들이 죽을 맛임. 동반 운지 중.
3. 철강산업 구조조정
우리나라 철강산업이 어려운 이유는
위와 같은데 (2013)
딱히 개선된 부분이 없어서
내년에도 나쁠 것이라고 해. ㄷㄷ (2015.11)
그래서 우리나라 철강사들이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2014)
철강 생산량을 줄여서
전세계 공급과잉 문제에 대응하고 (2015.08)
구조조정을 통해 철강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예정이야. (2015.10)
그리고 이런 공급과잉 문제는
중국이 터무니 없이 심해 (2015)
우리나라 철강업체들보다
중국 철강업체들이 먼저 망할 일이고 (2015)
우리나라는 저가의 철강제품 대신에
경량의 고품질 철강을 생산하는 등 (2012)
미래 수요에 맞게 적응해나간다면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이
분명히 승리할 것으로 생각해. (2014)
또 앞으로 동남아가 성장을 한다면 (2014)
동남아의 철강수요가 늘어나
공급과잉 문제가 완화되어 (2014)
철강산업이 다시 성장할 것 같아. ㅎㅎ
3. 철강산업 구조조정 요약
1) 전세계 철강 공급과잉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구조조정에 들어갔음.
2) 중국의 과잉설비 문제가 매우 심각해 중국 업체가 먼저 망할 것 같음.
3)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의 경쟁력이 더 좋아 버틸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함.
과거글 링크 : http://www.ilbe.com/6850171787
3줄 요약
1. 철강산업은 다양한 산업에 이용되어 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산업임.
2. 중국의 철강 과잉생산으로 전세계 철강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음.
3. 우리나라 철강업체들의 기술력이 좋아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압] 기타 주법중 하나인 '핑거스타일' 에 대한 강좌 (영상포함) (0) | 2015.11.05 |
---|---|
(과학) 미래는 결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니면 개척 가능한가? (1) | 2015.11.05 |
냉기의 신기 (초스압) - 1부 (0) | 2015.10.21 |
[초스압] 유럽의 다양한 민족들에 대해 알아보자 (0) | 2015.10.08 |
게임에서 CPU의 중요성 - GPU를 보조한다 (1) | 201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