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악화되는 그리스 경제의 몰락

반응형


.





일간베스트 원문링크 www.ilbe.com/5611148025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UmmoE

그리스나치.png



안녕~ 오늘 네이버 뉴스를 보고 필이 딱 꽂혀서

그리스 경제를 주제로 일베글을 또 써볼 생각이야.

짤과 내용이 조금 변했으니 양해 바랄께~

목차는

1. 그리스 경제운지

2. 그리스가 운지한 이유

3. 그리스와 채권단의 갈등

이렇게 쓸 생각이야.

1. 그리스 경제운지

그리스2.jpg

그리스는 남유럽의 아름다운 반도국가로

지중해의 맑은 바다와 무수히 많은 섬으로 유명한 나라야.

그리스국가개요.png

인구는 1100만명, 면적은 우리나라의 1.3배의 작은 나라이고 (인구 기준)

그리스경제.jpg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경제상황이 점점 나빠지다가

2011년에 결국 경제운지한 나라로

그리스경제지표.png

2009~2013년까지 대부분의 경제지표가 마이너스 성장을 했어

아 실업률과 정부부채는 놀라운 속도로 늘어났음. ㅋㅋ

그리스실업률.jpg

청년실업률은 지금도 변함없이 60%를 기록하는

실업지옥 상태이고 (네이버 기준)

그리스구제금융.jpg

1년치 GDP보다 많은 구제금융을 받고

그리스탕감.jpg

민간부채 50%를 탕감 받았지만

그리스국가부채.jpg

그리스의 정부부채는 GDP 대비 약 175% 가까이 불어난

씹노답 국가야. ㄷㄷ

1. 그리스 경제운지 요약

1) 그리스는 남유럽의 작고 아름다운 나라로 2008 세계경제 위기로 인해 2011년 경제운지함.

2) 실업률과 부채 빼고 나머지 경제지표들 대부분이 운지한 나라로, 지금도 청년실업률이 60%에 이름.

3) GDP보다 많은 구제금융과 민간부채 50%를 탕감 받았지만, 그리스의 GDP 대비 정부부채는 175% 정도로 불어났음.

2. 그리스가 운지한 이유

62d9ffd29064f3b656c16496574804b8.jpg

그리스가 망하게 된 이유는 여러가지 있지만

그리스관광업.png

첫째는 GDP와 고용의 15%가 넘는 관광업이

미국과 유럽의 경제위기로 매우 어려워진 점이 있고

그리스수출.png

그리스 수출의 50%가 제조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리스노동비용.jpg

유로존 가입으로 그리스 환율이 평가절상되어서

달러로 따진 그리스의 노동비용이 너무 올라갔고

그때문에 제조업의 수출경쟁력이 운지하게 되었어.

(유로화 환율은 유럽 각국의 경제력을 합친 후 평균 낸 것이라 할 수 있는데

그리스는 평균 이하라 손해고 독일은 평균 이상이라 이익임.)

그리스무역수지.jpg

그리스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운지는

그리스의 무역수지 적자를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만들었지. ㄷㄷ

그리스해운.png

그리고 그리스하면 해운강국으로

전세계 화물선의 15%가 그리스 해운업체 소유인데

발틱운임지수.jpg

해운업 지표인 발틱운임지수가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운지해버려서 해운강국 그리스에 악영향을 주었어. ㅎㅎ

그리스복지2.jpg


그리스 망한 이유로 가장 손 꼽히는 것은

과도한 복지비 지출인데

그리스근로시간.jpg

사실 그리스가 서유럽&북유럽 만큼 복지가 많은 것이 아니라

좌파들의 반론도 만만치 않은 편이야.

그리스지하경제.jpg

하지만 남유럽 최대의 지하경제로 인한 탈세와

서유럽&북유럽보다 못한 그리스의 경제력 때문에

그리스적자.png

그리스 정부의 세금수입보다 정부지출이 많았으니

그만큼의 격차가 다 국가부채가 된 것이야.

예컨데 버는 것보다 쓰는 것이 많았음.

그리스연금.png

그리고 특정부분에 한해서 그리스의 복지가

서유럽보다 과한 것도 있었고

유럽재정지출.png

2013년 기준이라 왜곡이 많겠지만 (산업 운지로 정부비중 상승)

그리스의 경제에서 정부비중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편이라고 생각해.

그리스국채금리.jpg

거기다 그리스가 국가신용도가 나쁜 탓에

한때 그리스 국채금리가 96% 까지 급등했으니 (사채 수준 ㄷㄷ)

국채금리의 비정상적 급등이 결정타인거 같아.

2. 그리스가 운지한 이유 요약

1) 유로화 도입으로 환율의 평가절상이 생겨 그리스의 수출경쟁력이 운지했음. 무역적자 급증.

2) 세계경제 위기로 그리스 경제에서 비중이 큰 해운업과 관광업도 운지함.

3) 복지가 서유럽 만큼은 아니나, 그리스의 경제력에 비해선 조금 많이 했다고 생각함.

3. 그리스와 채권단의 갈등

그리스긴축.jpg

유로존의 경제정책이 긴축재정이라서

그리스는 재정지출을 크게 줄여야 했어.

그리스긴축2.jpg

그리스 정부는 유로존 요구를 수용해서

재정적자를 놀라울 정도로 줄였지만

시리자공약.jpg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정부지출을 줄이면

국민들의 고통은 더욱 가중되기 때문에

정권교체.jpg

긴축반대&복지를 내세운 극좌파인

시리자가 집권을 하게 되었어.


시리자입장.jpg

하지만 채권단인 EU는 유로존 경제정책인

긴축 시행을 요구하고 있고

그리스 집권당인 시리자에게는

공약 포기는 국민과의 약속을 저버리는 행위로

곧 지지율 운지라 어려운 상황이야.

그리스독일.jpg

그래서 유로존 채권단 중 가장 지분이 많은

그리스시위.png

독일을 상대로 어그로를 끌어서 좋은 조건에 합의를 보고자 하는 것이야.

과연 그리스의 배를 째버리를 것인가? 아니면 유로존이 포기할 것인가? 의 싸움이지. ㅋㅋ

유럽입장.jpg

그때문에 유럽 내에서도 그리스 빚 탕감에 의견이 분분하고 있어. ㅎㅎ

경재개혁안.png

그리고 그리스 정부는 유로존 채권단에게경제개혁안을 제출해야 하는데

그리스와 유로존이 많이 다투고 있는 중이라

그리스변수.jpg

어찌될지는 모르는 상황이야.

그리스채무.jpg

올 6월에 그리스 국채 만기가 많이 돌아온다고 하고

그리스최근금리.jpg

최근 그리스 금리가 크게 상승했으며

뱅크런가능성.jpg

그리스 은행예금이 많이 줄어든 상황이야. ㄷㄷ

뱅크런인가? 싶음. ㄷㄷ

최근가능성.png

오늘 글로벌 투자은행에서 그리스에 대해 나쁜 전망을 하고 있어서

앞으로 그리스가 어찌될지 궁금한 상황이야.

그리스채권단.jpg

그리스 경제가 지금까지 매우 나빴지만

그리스수출증가.jpg

유로존 양적완화로 평가절하 중이라

수출이 조금씩 살아나고 있고

그리스미래성장률.jpg

그리스 경제성장률의 미래전망이 좋아질 것으로 나오고 있어서

잘 되었으면 좋겠어. ㅎㅎ

3. 그리스와 채권단의 갈등

1) 긴축을 반대하는 극좌파 시리자가 집권해서 유로존 채권단과 경제개혁안과 부채탕감으로 갈등을 빚고 있음.

2) 유로존 채권단 중 가장 큰 독일을 상대로 그리스가 어그로를 끌고 있음. 좋은 조건에 협상하기 위해서임.

3) 최근 그리스의 국채금리가 급등하고 뱅크런 우려가 있는 듯함. 어찌될지 걱정됨.



3줄 요약

1. 그리스는 2008년 미국발 경제위기로 경제가 나빠지다가 2011년 결국 경제운지함. 청년실업률 60%로 Hell

2. GDP보다 많은 구재금융과 많은 부채탕감을 받았으나 GDP 대비 정부부채가 175%로 여전히 높음.

3. 그리스는 유로존 채권단과 경제개혁안과 부채탕감을 주제로 협상 중임. 현재 상황은 나쁜 편임.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