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식

[음식 이야기] 한식이 과연 정말 건강식인지 알아보자.JISick

반응형


.



안녕 게이들아, 나는 요리를 공부했고 요리사로써 약 5년동안 현장에서 일했던 게이야.

지금은 공부겸 쉴겸 일본에서 살고있어,

앞으로 기회가 된다면 알고있는 것들은 하나 둘 이야기 해볼께.



오늘의 음식이야기 주제는 바로 '한식, 건강식일까?' 야.



밥_1_1.jpg


채소 위주의 식단, 식물성 기름의 사용, 다양한 발효식품 등등

위에 이야기만 들어보면 긴 역사를 가진 

'한식' 다시 말해 우리가 항상 접하고 맛보는 가정식은 말 그대로 '건강식단'이야.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

많이 들어봤지? 광고에서도 가끔 나와 (햇반 같은) 그만큼  한식의 중심은 밥이야.

긴 역사와 전통, 다양한 음식이 있는 한식이지만 이 모든 음식은 '밥'을 먹기 위해 차려지고있어.

 

이처럼 한국에서는 '밥'을 제외한 모든 것을 '반찬'으로 취급하지.


imagesCA7OOO02.jpg

-[어떤 학교급식의 예]우동이 나왔지만, 밥은 빠지지 않는다.-

 

우리 주위에서, 특히 정게아저씨들에게  "밥을 먹어야, 한 끼를 해결한 거 같다." 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어.


img_2160_kjiong.jpg

2___0727e362-1fbe-4a8c-a624-3101888f218a.jpg


위와 같이 고열량의 고기와 돈가스를 먹어도 밥은 빠지지 않아,

 

이렇듯 밥 위주의 한식은 당연히 과다한 탄수화물 섭취를 하게 돼.


2.jpg

-통계청 한국남자의 1일 영양섭취량 비교 통계-

 

위에 통계에서 알 수 있듯, 한국식단에서 탄수화물의 섭취는 당연히 높을 수밖에 없어.


5.jpg


과도한 탄수화물 섭취는 건강에 좋지 않다.-

 

또한 밥(쌀)은 간이 없지? 즉 '싱겁다.' 라는 이야기가 되는데,

한식은 반찬을 통하여 간을 조절하기 때문에 당연히 나트륨의 섭취량 또한 늘어나게 돼.


1.jpg

또, 대표적으로 한식에 국물 문화가 있어 하지만,

흔히들 건강식으로 알고 있는 미역국에서도 나트륨 성분이 엄청 많음 ㅇㅇ

6.jpg


-그 어떤 영양소보다 나트륨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결론적으로 지속적인 한식의 섭취는 아래 표와 같이 과다한 탄수화물과 나트륨을 섭취하게 돼.


3.jpg


물론 한식이 건강식임은 틀림이 없어,

하지만 잘못된 식습관으로 한식은 더는 건강하지 않아.

 

밥의 양을 반 공기로 줄이고, 국물을 끝까지 다 마시지 않는 등의 건강한 식습관이 필요해.


06969c4fb40164967487dcad6dbc182d5af123b1.jpg


일일 섭취량, 평균섭취량등의 통계는 내가 직접 통계청에서 스샷한거임,

맛있는 한식, 몸 생각하면서 조절해 먹어라 게이들아.







.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