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1. 해상도
효과 : 화면의 세밀한 정도를 나타냄.
ex)
성능 변화폭 : 큼
설정법 : 자기 모니터 해상도랑 동일하게 맞추기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크니까 사양 후달리면 해상도를 낮춰봐라
2. 화면비
효과 : 화면의 X축 Y축 비율
ex)
성능 변화폭 없음.
설정법 : 걍 니 모니터 비율대로
3. 안티 엘리어싱
효과 : 화면의 계단현상을 없앰
ex)
설명 : 물체 경계의 계단 현상을 줄임.
이미지를 키웠다가 줄이는 방법 을 쓴다. 켜면 처리할게 몇배로 늘어나서 메모리 사용량이 올라가서 성능 저하가 심함.
X2 ,X4, X8 같은 숫자는 키우고 줄이는 배율로 높을수록 고화질이지만 고성능이 필요해짐.
종류 :
키우고 줄이는 AA
SSAA=슈퍼샘플링 : 제일 화질 좋음. 매우 느림. 사양 좆나게 탄다 키지 마라
MSAA : 제일 일반적인 AA.
Transparent AA : MSAA의 화질적 단점을 개선함. 덕분에 더 고사양
AA느낌나게 하는 후처리
키우고 줄이는게 아니고 후처리 효과를 이용해서 가장자리에 색을 넣어서 뭉개는거. 그래서 사양은 낮지만 대신 화면이 흐릿해짐.
안티킬때 화면 흐려지면 얘들 때문임. 니 취향따라 키던 끄던 해라
FXAA = nVidia 지포스 계열 기술
MLAA = Intel, AMD 라데온 계열 기술
성능 변화폭 : 노무노무 큼.
설정법 : 다른거 다 맞춰놓고 나서 프레임이 남아돌면 켜라
4.이방성 필터링
효과 : 멀리있는 텍스쳐를 선명하게 해줌.
ex)
설명 : 멀리 있는 텍스쳐는 거리상, 각도상 원래 형태대로 쓰이지 못하고 주욱 늘어난 형태로 쓰임.
그러다 보니 보통 매우 뭉개지게됨. 그래서 그걸 좀 덜뭉개지게 보이도록 해 주는 기능임.
종류 :
Bilinear
Trilinear : Bilinear보다 좋음. 일단 이름부터가 2보다 3이 더 크잖아?
Anistrophic Filtering = 이방성 필터링 = 비등방성 필터링 : 위에 두 애들보다 좋음. 배수 올라갈수록 화질 좋아짐.
성능 변화폭 : 중하
설정법 : 성능 별로 안탐 우선 최대 옵션 걸어보고 렉걸리면 하나씩 빼면 된다
5.수직동기화
효과 : 화면 찢김과 그래픽카드 노가다를 막음.
설명 : LCD는 보통 60프레임까지만 정상적으로 나오고 그 이상 올라가면
화면이 티어링 (위아래가 찢겨짐 or물결이 침) 증상 이 일어나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60프레임 넘으면 무쓸모인데 그래픽카드가 괜히 노가다함
프레임이 30 이상 60 미만일때는 프레임 30으로 고정, 프레임 60 이상일때는 60으로 고정해서 없앤다고 함
성능 변화폭 :게임마다 다르다.
설정법 : 화면에 티어링이 생길 경우 켜면 해결됨.
가끔 키면 프레임이 병신되거나 마우스 조작이 병신되는 상황이 일어남 그땐 끄면 된다.
6. 삼중 버퍼링
효과 : 수직동기화 사용시 프레임 저하를 막아줌.
설명 : 수직 동기화 쓸때 사양이 애매한 애들 프레임 오락가락하는거 고쳐준다함
성능 변화폭 : 작음
설정법 : 수작동기화 쓰면 키고 안쓰면 키지마라
7. 모션블러
효과 : 움직이는 물체가 흐릿한 효과가 생김
ex)
설명 :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잔상이 남게 약간 흐리게 묘사함. 켜놓으면 좀 더 자연스러워짐
성능변화폭 : 작음
설정법: 켜
8. HDR
효과 : 빛의 밝기 단계를 증가시킴 - 눈부심과 암순응 등의 광원 효과와 관계있음
ex)
설명 : 빛의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의 밝기 차를 매우 크게 표현함.
하지만 모니터의 명암비는 한계가 있어서 보통 눈부심과 암순응 등의 효과를 넣음.
끄면 밝기 단계가 한정되서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 차이가 작아진다
설정법 : 요즘 왠만하면 거의 다 적용되서 나오지만 설정이면 키는게 좋을거다
9. 블룸
효과 : 매우 밝은 곳에 뽀샤시 효과를 줌
ex)
설명 : HDR로 인한 눈부심 효과가 없던 시절의 게임 혹은 그래픽카드의 경우 HDR에 의한 눈부심 대신 밝은 부분을 뽀샤시 효과처럼 밝게 묘사해서 비슷한 효과를 냈다. 그래서 빛이 번진다고 블룸 이라고 함.
설정법 : HDR 이 있으면 쓸 이유가 없음. HDR이 없거나 컴이 병신이면 켜라.
10. 렌즈 플레어
효과 : 광원을 봤을때의 렌즈 플레어 효과를 줌.
설명 : 렌즈 플레어는 사람 눈 말고 카메라로 태양을 봤을때 생기는 좆같은걸 말함.
ex)
성능 변화폭 : 없음.
설정법 : 켜.
11.테셀레이션
효과 : 입체를 보다 세밀하게 묘사함.
ex)
설명 : 기본으로 만들어둔 폴리곤 모델 위에 그래픽카드가 추가로 원래 폴리곤이 없는 부분에 폴리곤을 생기게 하는 연산을 함. 켜면 입체가 더 디테일해짐.
성능 변화폭 : 큼
설정법 : 최신기술임 니 컴이 병신이면 시도를 하지 마라.
13. 앰비언트 오클루전
효과 : 경계면에 그림자 추가해서 깊이감을 주는 효과
ex)
설명 : 보통 잘 보이는 큰 그림자 말고 물체 가장자리나 구석진 곳에 자잘한 그림자를 추가함
종류 :
Ambient Occlusion : 그냥AO
SSAO : 요새 많이 사용됨. 보통 AO보다 더 효율적이라고 함. 그림자가 지글거린다.
HBAO : SSAO 보다 고사양, 고화질.
HDAO : 라데온 최적화된 AO
성능 변화폭 : 큼
설정법 : 화질 변화는 그리 크지 않으면서 성능 저하가 큰 편임 프레임 병신되면 하지 마.
14. Physx
설명 : 세밀하고 리얼한 물리 효과를 준다고 함
영상 35초 부터
성능 변화폭 : 상
설정법: 사양 괜찮으면 키는걸 추천한다
15. FOV
효과 : 시야각
설명 : 눈에 보이는 시야각을 정하는 옵션임. 콘솔 게임은 보통 45-65 가량이며 PC 게임은 75-95 사이이다.
fov값이 낮으면 시야가 좁아 화면이 줌 땡긴것처럼 보인다.
fov 값이 높으면 시야가 넓고 휘어보인다. 많은 오브젝트가 보여서 성능 저하가 생길수 있다.
ex)
설정법 : 설정가능하면 니 취향대로 해
16. DOF
효과 : 화면 일부를 흐리게 처리해 깊이감을 더함
설명 : 초점이 있는 카메라나 인간의 눈처럼 화면의 초점 부위는 선명하게 나머지 부분을 흐리게 처리해 보이게 만들어 원근감과 깊이감을 만드는 기술.
ex)
성능 변화폭 : 중상
설정법: 니 취향따라 켜라 사양별로 안탐
.
.
반응형
'미디어 >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가형 게이밍 마우스에 대해서 알아보자.1편 (1) | 2013.10.10 |
---|---|
게이밍 마우스에 대해 알아보자!.2편 (1) | 2013.10.10 |
마인크래프트 중독자.jpg (0) | 2013.09.29 |
[스압] 유명한 게임 OST를 알아보자.Araboza -2편- (1) | 2013.08.25 |
디아블로3 확장팩 Reaper of Souls 트레일러 공개 (0) | 2013.08.25 |